감자옹심이국

구분
국류
재료
잡곡류
방법
끓이기
급식대상
초등 , 중등 , 성인 , 어르신
등록일
2022-11-03
조회수
376

레시피 정보

감자
  • 감자
    감자옹심이국
    • 급식대상 초등, 중등, 성인, 어르신
    • 조리법 끓이기
    • 집중활용시기 -
    • 1인 배식량 200g
만드는 방법
만드는 방법
만드는 방법의 준비물 1인분 기준에 관한 표입니다.
준비물
1인분 기준

감자 100, 녹말가루 10, 다시멸치 5, 양파 20, 대파 3, 다시마 0.4, 마늘 1, 국간장 3, 소금 2 

· 계량단위 : g
  1. 1. 감자는 껍질을 까서 물에 담가 녹말을 뺀 후 믹서기에 갈고 감자 전분을 섞어서 동그랗게 빚어 놓는다.
  2. 2. 양파와 대파는 채를 쳐서 놓는다.
  3. 3. 냄비에 물을 올리고 다시마와 멸치를 넣고 끓인 후 물이 끓어오르면 다시마와 멸치는 빼고 옹심이를 넣고 끓이면서 간장과 마늘을 넣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4. 4. 마지막에 대파를 넣고 끓인 후 그릇에 담는다.
영양소 분석
영양소 분석
영양소 분석 게시판으로 에너지(kcal), 단백질(g), 지질(g), 당질(g), 칼슘(mg), 나트륨(mg), 철분(mg), VitA(R.E.), VitC(mg), VitB1(mg), VitB2(mg)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에너지(kcal) 단백질(g) 지질(g) 당질(g) 칼슘(mg) 나트륨(mg) 철분(mg) VitA(R.E.) VitC(mg) VitB1(mg) VitB2(mg)
120 5.6 0.6 15.6 49.4 476 0.8 3.6 19.2 0.1 0.0
Tip

1. 옹심이 반죽을 약하게 하면 흩어지기 때문에 전분으로 농도를 맞춘다.

사용기기 및 기구
: 국솥
조리온도
: 100℃
조리시간
: 60분

*추천 식단 : 감자옹심이국, 추가밥, 해물파전, 오이지무침, 과일샐러드, 포기김치

감자 이야기

감자의 원산지는 남미의 안데스 지역이며, 한국의 전 지역에서 재배된다. 비교적 한랭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여 크고 뚱뚱해진 땅속 덩이줄기로 대표적인 구황작물이다.

감자와 식문화

감자는 1824~1825년 한반도에 들어와 강원도의 화전민을 중심으로 재배되었다. 당시 강원도의 기후조건이 감자를 재배하기에 원활하고 다른 작물에 비하여 수확량이 많아서 쌀 경작지 어려울 때 주식으로 재배되었다.

영양 정보

  • 감자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며. 철분, 마그네슘 등 무기질류와 비타민C, B1, B2, 나이아신을 함유하고 있어 철분 섭취가 필요한 빈혈 환자에게 좋다. 또한 감자의 칼륨성분은 나트륨을 배출하는 효능이 있다.
  • 감자의 영양성분(100g, 생것기준)
열량(kcal) 수분(g) 단백질(g) 지질(g) 탄수화물(g) 총당류(g)
식이섬유(g)
무기질(mg) 비타민(mg)
칼슘 칼륨 나트륨 B1 B2 나이아신 엽산(㎍) C
77 757 2 0.1 17.47 0.78 2.2 12 57 0.78 421 6 0.08 0.03 1.05 16 19.7

* 출처:농촌진흥청, 국가표준식품성분 DB 9.1(2019)

기능성 및 효능

  • 감자는 칼로리가 낮고 포만감이 높아서 다이어트 식품이며, 피부 노화 방지와 미백 작용에 좋은 비타민C가 19.7mg이다. 또한,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을 예방한다.

알레르기 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8-58호) 「식품 등의 표시 기준」에 따른 21가지 알레르기 식품은 난류(가금류에 한한다),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황산류(이를 첨가하여 최종제품에 SO2로 10mg/kg 이상 함유한 경우에 한한다), 호두, 닭고기, 소고기, 오징어, 조개류(굴, 전복, 홍합 포함)를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에 해당되며, 이 음식에는 된장(대두, 밀)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주의한다. 알레르기의 증상 유발 여부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식품별 교차반응에 의해서 이외의 식품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참고문헌

1. 농산물유통정보(KAMIS)
2. 국립원예특작과학원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위키백과